IT

왕초보도 쉽게 따라하는 서버 구축 가이드: 라즈베리파이 5 설치 매뉴얼

jeap 2024. 12. 13. 20:00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손바닥만 한 크기의 라즈베리파이 5를 이용해서 여러분만의 IoT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라즈베리파이 5를 활용하면 집이나 작은 사무실, 심지어 공장에서도 나만의 IoT 서버를 쉽게 만들 수 있답니다. 이 가이드를 통해 라즈베리파이 5를 이용한 IoT 서버 구축의 매력을 경험해 보세요. 자가 서버 구축으로 구독료 절감의 혜택도 누릴 수 있답니다. 지금부터 라즈베리파이 5와 함께하는 IoT 서버 구축 여정을 시작해 볼까요? 준비되셨나요?

라즈베리파이 5 소개 및 IoT 서버 구축

라즈베리파이 5는 2013년 첫 모델 출시 이후 네트워크 분야에서 꾸준히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 가이드는 총 3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늘은 그 첫 번째 시간으로 OS 설치 방법을 자세히 알려드릴 거예요. 라즈베리파이 5를 이용해서 IoT 서버를 구축하려면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라즈베리파이 5 전용 케이스나 쿨러, 128GB 마이크로 SD 카드, Micro HDMI 케이블, 그리고 25W 전원 어댑터 등의 부가적인 장비들이 필요해요. 저는 공식 케이스와 액티브 쿨러, 25W 전원 어댑터까지 준비했답니다. 라즈베리파이 4B와 5의 스펙 비교는 따로 자료를 찾아보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OS 설치 및 환경 설정

라즈베리파이 5에 운영체제(OS)를 설치하는 방법과 환경 설정을 알려드릴게요. 초기 계정은 pi/raspberry이며, root 암호 설정은 sudo passwd root 명령어를 사용하면 돼요. su - root 명령어로 root 계정으로 접속하고, whoami 명령어로 현재 계정을 확인한 후, exit 명령어로 로그아웃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라즈베리안은 데비안 기반 리눅스이므로, uname -a 와 cat /etc/issue 명령어로 버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find / -name '*init*' 명령어를 이용하면 특정 파일도 찾을 수 있어요. 시스템 종료는 sudo poweroff, sudo halt, sudo shutdown -h now 중 편한 명령어를 사용하고, 재부팅은 sudo reboot 명령어를 사용하면 돼요.

무선랜 설정은 sudo raspi-config를 통해 SSID와 암호를 입력하고 재부팅하면 돼요. 하지만 연결이 안 된다면 sudo apt update, sudo apt upgrade 명령어로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iwconfig, sudo ip link set wlan0 down, sudo ip link set wlan0 up, ip a, sudo iwlist wlan0 scan, sudo /etc/init.d/networking restart, sudo service networking restart, sudo reboot 명령어를 순서대로 시도해 보세요. ping 명령어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답니다. 2023년 6월 이후 데비안 12 배포판부터는 고정 IP 설정 방법이 변경되었으니, 참고 자료를 통해 최신 설정법을 확인하는 것이 좋아요. 유선랜만 사용하려면 sudo ip link set wlan0 down 명령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USB 외장 저장장치를 사용하려면 sudo apt-get install ntfs-3g 명령어로 ntfs-3g를 설치하고, sudo blkid로 장치 정보를 확인한 다음, sudo umount로 기존 마운트를 해제하고, sudo mkfs.ext4로 포맷(필요시), sudo mkdir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sudo mount로 마운트하고, /etc/fstab 파일에 마운트 정보를 추가한 후 sudo reboot로 재부팅해야 해요. OS 최신 패치 적용은 sudo apt-get update와 sudo apt-get upgrade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고, uname -a 명령어로 업데이트 후 버전을 확인하고 재부팅하면 끝이에요! 패키지 관리는 sudo apt-cache search, sudo apt-get install, sudo apt-get autoremove, sudo apt-get remove, sudo apt-get purge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고요. 새로운 사용자 추가는 sudo adduser 명령어를, 삭제는 sudo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하고, visudo 명령어로 sudo 권한을 부여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데이터 압축과 복원은 tar -zcvf (압축)과 tar –xzvf (복원) 명령어를 사용하면 돼요. DuckDNS를 이용한 공인 IP 운영은 포트 포워딩 설정이 필수라는 점 잊지 마세요!

리눅스 파일 편집기 vi 사용법

라즈베리파이를 사용하다 보면 설정 파일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할 때 리눅스 파일 편집기가 필요해요. 가장 기본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편집기 중 하나가 바로 'vi'입니다. vi는 처음 접하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명령어만 익히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요.

vi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려면 터미널에서 vi 파일이름 명령어를 입력하면 돼요. 예를 들어, vi config.txt라고 입력하면 config.txt 파일을 열 수 있고, 파일이 없다면 새 파일이 생성돼요. vi는 '명령 모드'와 '입력 모드' 두 가지 모드로 나뉘어요. 처음 vi를 열면 명령 모드에 있고, 이 상태에서는 커서를 이동하거나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하는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어요. 입력 모드로 전환하려면 i 키를 누르면 되고, 다시 명령 모드로 돌아가려면 Esc 키를 누르세요.

입력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텍스트 편집기처럼 글자를 입력하고 수정할 수 있어요. 명령 모드에서 파일을 저장하려면 :w를, 저장하고 종료하려면 :wq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세요. 파일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려면 :q!을 입력하고 엔터 키를 누르면 돼요. 수정한 내용을 저장하지 않고 종료하려고 할 때, 이미 수정된 내용이 있다면 vi는 저장하지 않고 종료할 것인지 묻는 메시지를 보여줘요.

커서 이동은 h (왼쪽), j (아래), k (위), l (오른쪽) 키를 사용하면 편리해요. 한 줄을 삭제하려면 커서를 해당 줄에 위치시킨 후 dd를 입력하면 되고요. 문자를 삭제하려면 x 키를 사용하면 돼요. 더욱 자세한 vi 사용법은 인터넷에서 'vi 명령어'를 검색하면 다양한 자료를 찾아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vi는 처음에는 어렵지만 익숙해지면 라즈베리파이를 관리하는 데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거예요. root 권한으로 파일을 편집해야 할 경우에는 sudo vi 파일이름 명령어를 사용하면 돼요. 강제 종료는 Ctrl + c 키를 누르면 되지만, 저장되지 않은 내용은 사라지니 주의해야 해요.

사전 준비 및 초기 설정

라즈베리파이로 서버를 구축하는 데 필요한 준비물과 초기 설정을 알려드릴게요. 먼저, 라즈베리파이 보드, 마이크로 SD 카드(최소 8GB 이상의 고속 카드), 그리고 파워 어댑터가 필요해요.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가 없더라도 SSH 접속을 통해 원격으로 초기 설정을 진행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마세요. SSH 접속을 위해서는 컴퓨터와 라즈베리파이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어야 해요.

다음으로, 라즈베리파이용 운영체제(OS)를 준비해야 해요. Raspbian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공식 웹사이트에서 이미지 파일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답니다. 다운로드받은 이미지 파일을 SD 카드에 압축을 풀어 설치하면 되는데, 이 작업은 SD 카드를 컴퓨터에 연결하고 Etcher나 Rufus와 같은 이미지 쓰기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간편하게 할 수 있어요. 이 프로그램들은 사용 방법이 직관적이라 초보자도 어렵지 않게 사용할 수 있답니다.

OS 이미지를 SD 카드에 기록한 후, SD 카드를 라즈베리파이에 꽂고 전원을 연결하면 부팅이 시작돼요. 처음 부팅 시에는 설정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키보드와 마우스를 연결했다면 화면에 표시되는 안내에 따라 설정을 진행하면 돼요. SSH를 통해 원격으로 설정을 진행할 경우에는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를 알아야 하는데, 라우터 설정 페이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답니다. 라즈베리파이의 IP 주소와 SSH 포트 번호를 알고 있다면, PuTTY나 Terminal과 같은 SSH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라즈베리파이에 접속할 수 있고, 초기 설정을 완료할 수 있어요. 처음 접속 시에는 기본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것을 잊지 마세요! 보안을 위해 꼭 변경해주세요. 이렇게 준비 과정과 초기 설정을 마치면, 이제 본격적인 서버 구축을 시작할 수 있답니다.

결론

이번 가이드를 통해 라즈베리파이 5를 이용한 IoT 서버 구축의 기본적인 과정을 살펴보았어요. OS 설치부터 기본적인 환경 설정, 필수적인 리눅스 명령어 사용법, 그리고 초기 설정까지, 왕초보도 따라 할 수 있도록 자세하게 설명해 드렸습니다. 이제 여러분도 라즈베리파이 5와 함께 나만의 IoT 서버를 구축하고, 자가 서버의 편리함과 경제적인 이점을 누릴 수 있을 거예요. 다음 시간에는 더욱 심화된 내용으로 찾아뵙겠습니다. 라즈베리파이 5를 이용한 IoT 서버 구축에 성공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 wcs_do();